최근 k패스 교통카드가 출시되면서 출시 한딜이 채 안되는 기간 동안 총 회원 120만명이 가입을 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새로 출시된 상품이다보니 사람들이 이용방법에 있어 궁금한 사항이 많이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그래서 사람들이 가장 궁금해할만하고 문의가 많이 있는 질문과 그 답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K패스, 기후동행카드, The경기패스 등 교통카드 종류에 대해 한 눈에 알고 싶으신 분들은 아래에서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기후동행카드, The경기패스, I패스 어떤 점이 다르나요?
기후동행카드는 서울 내에서 전철, 버스, 따릉이를 이용할 수 있는 카드로, 환급을 해주는 방식이 아니라 사전에 결제하는 무제한 정액권 방식입니다.
"무제한 정액권" 비용은 6만 5천원이고 따릉이를 제외한다면 6만 2천원입니다. 단, 19~39세 청년의 경우 5만 8천원, 따릉이를 제외하면 5만 5천원입니다.
The경기패스와 I패스는 K패스 혜택을 기반으로 경기도와 인천에서 추가로 혜택을 주는 정책입니다.
19~34세에게 혜택을 제공해주는 K패스와는 달리 만 39세까지 청년 헤택을 받으실 수 있으며, 60회를 초과하여 이용해도 환급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휴대폰으로 앱을 설치하려는데 어떤 앱을 이용해야 하나요?
휴대폰 앱 마켓(앱스토어,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K패스를 검색하면 정말 많은 앱이 검색이 됩니다.
하지만, K패스는 한국교통안전공단에서 제작한 공식 앱을 다운받아 이용해야 합니다.
외국인도 K패스를 이용할 수 있는지?
외국인 등록번호가 있는 외국인만 회원가입이 가능합니다.
회원가입 화면에서 주민등록번호 입력란에 외국인등록번호를 입력하면 가능합니다.
만약 외국인 등록번호로 거소사실 여부를 확인할 수 없다면, 홈페이지로 가입이 가능합니다.
홈페이지에서 회원가입 후, "MY > 나의지자체 메뉴"에 들어가면 "파일등록" 버튼이 있는데 이 곳을 클릭 후 국내거소사실확인서를 등록해주시면 됩니다.
내가 살고 있는 지역 외에서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경우 K패스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K패스 회원이라면 거주지 외에 전국 어디서든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혜택을 받을 수 있으니 걱정하지 마시고 사용하시면 됩니다.
K패스는 출도착 버튼을 안눌러도 되는지?
K패스는 출도착 버튼을 누르지 않아도 됩니다. K패스는 대중교통 이용요금의 20~53%를 적립 후 지급하는 방식이기 때문입니다.
기존 알뜰교통카드는 거리기반으로 적립을 해주지만, K패스는 이용요금을 기반으로 적립이 되기 때문에 카드만 이용한다면 자동으로 다음달 5 영업일 내에 정산되어 카드사로 지급 요청되고 카드사의 정책에 따라 사용자가에 지급이 됩니다.
마치며
지금까지 사람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질문에 대해 궁금증을 풀어보았습니다.
대중교통을 자주 이용하시는 분이라면 지금 바로 K패스 가입 후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추가로 K패스 적립은 어떻게 되고 적립금 지급은 언제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궁금하신 분들, 그리고 K패스 이용카드에 대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에서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