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서히 여름이 다가오면서 여름휴가를 어디서 어떻게 보낼지 계획 중이시죠?
날짜를 선택할 때 가장 중요하게 알아봐야 할 것은 바로 "장마" 입니다.
힘들게 연차 등을 써서 시간을 내어 휴가 일정을 잡았는데, 장마기간에 걸려버리면 너무 슬프죠.
그럼 지금부터 2024 장마기간, 장마 시작일 등 장마를 예상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더불어, 우리나라 최고의 휴양지인 제주 장마까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평년 장마 정보
평년 장마 정보의 의미는 최근 10년간 장마에 대한 정보를 평균을 낸 값을 의미합니다.
평년 장마 정보를 통해서 우리는 올해 대략적으로 언제 장마가 올지 예측할 수 있습니다.
아래 표는 2014년부터 2023년도 평년 값이니 2024년 장마 예측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지역 | 시작일 | 종료일 | 기간(일) | 강수일수(일) | 평균강수량(mm) |
중부지방 | 6.25 | 7.26 | 31.5 | 17.7 | 378.3 |
남부지방 | 6.23 | 7.24 | 31.4 | 17.0 | 341.1 |
제주지방 | 6.19 | 7.20 | 32.4 | 17.5 | 348.7 |
위 표에서 보듯 어느 지역이나 전부 비슷합니다.
6월말부터 시작해서 7월 말까지 약 한달간 장마기간이 형성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요즘 환경 문제로 인한 기후변화가 많아서 달라질 수는 있겠지만, 평년 값은 무시하지 못하니 올해도 저정도 수준에서 약간의 오차만 발생할테니
휴가를 잡으시려면 8월달에 잡으시는게 가장 좋을 거라 생각됩니다.
기상청 3개월 전망(6~8월)
기상청에서는 매월 앞으로의 3개월 기상 전망에 대해 발표하고 있습니다.
지난 5월 23일에 발표한 6~8월 3개월 전망을 요약해 본다면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 6월 | 7월 | 8월 |
평균기온 | 평년보다 높을 확률이 50% | 평년과 비슷하거나 높을 확률이 각각 40% | 평년보다 높을 확률이 50% |
강수량 | 평년과 비슷할 확률이 50% | 평년과 비슷하거나 많을 확률이 각각 40% | 평년과 비슷하거나 많을 확률이 50% |
예측결과를 종합해 보면 평균기온과 강수량 모두 평년보다 높을 확률이 많습니다.
폭우나 폭염 대비를 각자 잘 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2024년의 경우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는 태풍은 평년(여름철 평균 2.5개)과 비슷하거나 적을 확률이 높다고 예측하고 있어 그나마 희소식이 아닐까 싶네요.
그리고 기온이나 강수량 등 기후요소가 평년에 비해 현저히 높거나 낮은 수치를 나타내는 이상기후는 평년(3일)보다 많을 확률이 50%로 각별히 유의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제주 날씨 정보
우리나라에서 가장 멋지고 인기있는 휴양지 제주 날씨를 예측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작년 2023년 6~8월 제주 기온을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위 그래프를 보면 6월달이 가장 날씨가 덥지 않아 좋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7~8월은 약간의 기온차는 있으나 거의 30도 초중반에 머물고 있어 아주 더울 것으로 예상되네요.
제주로 휴가를 가기 가장 좋은 시기는 태풍과 장마를 피하고 폭염이 없는 6월 초중순이 가장 좋겠습니다.
마치며
지금까지 2024년 장마와 날씨 등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위 정보를 참고하셔서 휴가계획을 알차게 세우시기를 기원합니다.
조금 더 상세한 정보를 원하시는 분은 기상청 분석결과를 참고하시면 더욱 확실한 예측이 가능할거라고 생각됩니다.